무역학개론 - 최준호 교수
본 과목은 무역학의 개괄적이고 총체적인 내용을 소개하는 기초학문으로, 무역학의 학문영역, 접근방법, 무역실무의 기초이론, 국제경영의 기초분야 등 무역학 전반을 배움으로써 무역학의 기초 지식을 배양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과목의 학습내용은 국민경제가 개방화됨에 따라 변화되는 제반요인을 고찰하고 글로벌시대의 우리경제 실상을 보다 분석적으로 이해하는 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한국경제의 과거와 현재를 살펴 그 대안을 찾아본다. 이를 위해 경제이론과 현실경제의 연관을 이해할 수 있는 학문의 실용화에 중점을 두고 학습한다. 본 과목을 통해 한국경제의 주요 이슈에 대해 공부하고 한국무역과 통상에 관한 주요 현안과 해결방안에 관해 알아본다. 또한 한국 무역의 변천과 문제점 및 향후 과제를 공부하고, 국제사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본다.
|
사회학개론 - 강철구 교수
사회학개론은 근대의 정신적, 경제적, 정치적 기본원리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근대성의 기본적 구조를 개괄하는 과목이다. 이에 따라 본 과목은 대중문화, 문화적 다양성, 섹슈얼리티, 여성 노동, 세계화, 한국 민주주의, 기술과 윤리 등의 주제를 세부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오늘날의 사회에 놓여 있는 제반 사회학적 쟁점들을 파악하고 이에 대해 어떤 시각을 가져야 하는지 검토하고 고민해본다. 본 과목을 통해 사회학의 문제의식과 기본개념, 기본관점을 이해할 수 있고, 현대 사회 속에서 인간 삶의 다양한 부분들이 어떻게 이뤄지는지를 이해할 수 있다. 또한 현대 사회의 기본원리를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고, 현대 사회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주제와 쟁점들을 개괄적으로 파악하고, 비판적으로 사유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한다.
|
인력개발과활용 - 김상기 교수
경제성장·발달을 목표하는 경제학적인 문제의식에 있다는 것을 토대로, 인력개발은 기존노동력을 보다 유효하게 활용하는 것 외에 부인·노인·실업자 등 아직 이용하지 않고 있는 노동력의 개발을 목표로 한다. 잠재적인 인간능력의 보다 충분한 개발, 활용을 연구하고 교육정책과도 어떤 깊은 관련을 갖는지를 알아보며, 1970년대 이후 경제의 고도성장 이래 교육 과잉상태로 인한 고학력자의 실업문제가 심각해지면서 새로운 관점에서 재검토 된 인력개발의 내용에 대해 연구한다. 이를 토대로 한 나라의 부 또는 자원으로서 인간능력의 충분한 개발·활용을 인력개발을 통해 할 수 있는 방안을 세울 수 있다.
|